목록도선국사 (9)
서백의 사찰이야기

전남 강진군 성전면 월하리 월출산 동남쪽에 자리하고 있으며,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 대흥사(大興寺)의 말사이다. 그리고 無爲寺(무위사)라고 하는 절이름의 뜻은 불교사전을 보면 "현상을 초월하여 상주불변(常住不變), 즉 없어지지 않고 영원히 변하지 않는 존재를 이르는 말"이라고 표현하고 있는데, 무위사의 창건은 신라시대 진평왕 39년(617년) 원효대사가 창건하였으며 절이름은 관음사(觀音寺)라 했다고 한다. 또한 무위사사적>을 보면 절은 통일신라시대 875년(헌강왕 1년)에 도선국사가 갈옥사(葛屋寺)로 중건한 것이 첫번째 중창이라 한다. 그리고 이로부터 얼마 지나지 않은 905년(효공왕 9년) 이후 선종인 가지산문(迦智山門)계통의 선각국사(先覺國師) 형미(逈微, 864∼917년)가 고려 태조 왕건..
경기도 가평군 조종면 현등사길 34 (가평군 조종면 운악리 산163번지) 대한불교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인 봉선사의 말사이다. 신라 법흥왕 때 인도승 마라가미(摩羅訶彌)가 포교승으로 신라에 왔으므로 왕이 그를 위해 절을 창건하고 산 이름을 운악산이라 하였으나, 창건 당시의 사찰명은 전하지 않는다. 그 뒤 수백 년 동안 폐사가 되었다. 898년(효공왕 2)에 고려가 개경(開京)에 도읍을 정할 것을 미리 안 도선국사가 송악산 아래 약사도량으로 세 사찰을 창건하였으나, 완공 뒤 지세를 살펴보니 동쪽이 허(虛)하였다. 이를 보진할 땅을 찾아 동쪽으로 여행하다가 운악산의 옛 절터에 이를 중창하였다. 1210년(희종 6)에 보조국사(普照國師)가 주춧돌만 남은 절터의 석등에서 불이 꺼지지 않고 있음을 보고 중창하여 현..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 정수사길 403(용운리). 천태산 자락에 위치한 정수사(淨水寺)는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인 대흥사의 말사이다. 옛 군지(郡誌)에 의하면, 805년(애장왕 6) 도선국사(827~898)가 창건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도선은 827년(흥덕왕 2) 영암에서 출생하였고, 842년 승려가 ..
두방사는 878년(헌강왕 4)에 도선국사가 창건했으며, 1603년(선조 36)에 계형대사가 중건하였다. 1946년 창담 스님이 수도장의 조건을 구비하고, 시설을 개수하여 1962년에 청곡사 산내암자에서 해인사 말사로 등록하였으며, 1963년에 철웅 스님이 대웅전을, 1970년에는 법령 스님이 요사채를 각..
전라남도 화순하면 생각나는 대표 관광지는 세계문화유산 화순고인돌을 비롯해 천불천탑의 운주사, 천하제일경 화순적벽, 북면 서유리 공룡발자국 화석지 등 돌과 관련된 문화유적 등이 있는 고장이다. 이 고장의 화순군 도암면 대초리 천불산 자락에 위치한 구름이 머무는 절, 운주사(..
국화 축제가 열리는 계절에만 볼 수 있는 꽃들이 여기저기 피어나 가을 풍경을 제대로 만들어 주는 듯한 시월 어느날, 오랫만에 경남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18번지에 위치한 월아산(月牙山) 청곡사(靑谷寺)를 찾았다. 청곡사는 진주 지역에서는 가장 오래되고 가장 많은 지정문화재를 보유..
경남 진주시 이반성면 장안리 산31번지. 여항산 중턱에 위치한 성전암(聖殿庵)은 대한불교조계종 제12교구 본사인 해인사의 말사이며, 전통사찰 제73호로 지정되어 있다. 통일신라시대 879년(헌강왕 5) 풍수지리학 개산조인 도선국사가 창건했다고 전하며, ‘백두산의 정기를 동해를 끼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