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석등,부도,비 (60)
서백의 사찰이야기
각연사는 구전에 의하면 신라 법흥왕(514~519)때 유일대사(有一大師)가 세웠다고 하나, 조선 영조 44년(1768)에 기술된 (覺淵寺大雄殿上樑文)에 의하면 고려 태조부터 광종 년간(918~975)에 통일대사(有一大師)가 창건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비로전 대들보에서 발견된 묵서에는 고려 혜종(9..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일명 은진미륵) 앞에 놓여있는 4각 석등으로, 보물 제232호 "논산 관촉사 석등(論山 灌燭寺 石燈)이다. 이 석등은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이 중심이 되어, 아래에는 3단의 받침돌을 쌓고, 위로는 지붕돌과 머리장식을 얹었다. 평면이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진 ..
영축산(靈鷲山) 통도사는 『삼국유사(三國遺事)』에 신라의 자장율사(慈藏律師)가 당나라에서 불법을 배우고 귀국하여 대국통(大國統)이 된 뒤, 646년(선덕왕 15) 왕명에 따라 창건한 사찰로 기록되어 있다. 자장율사는 당나라에서 문수보살의 계시를 받고 불사리와 부처의 가사 한 벌을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45호 "신길원현감충렬비 (申吉元縣監忠烈碑)"은 경북 문경시 문경읍 상초리 340-1번지 문경세재 제 1관문 주위에 자리하고 있는 비로, 임진왜란 때 순국한 신길원 선생의 충절을 기리고 있다. 문경 향회(聞慶 鄕會)가 편찬한 기록에신원길은 조선 명종 3년(1548년)에 ..
전남 화순 유마사에 있는 해련탑(海蓮塔)은 보물 제1116호로 지정되어 있는 해련스님의 부도탑이다. 원래 유마사지 서쪽 산기슭에 무너진채 방치되어 있던 것을 1981년에 현재 위치로 옮겨온 것이다. 현재 상륜부는 없어졌으며, 모든 부재의 평면은 팔각으로 되어 있으며, 세부양식..
전남 화순 모후산 유마사 입구에는 가안선자(可安禪子)의 사리를 모신 부도가 있다. 탑의 옥개석으로 부도의 지대석과 옥개석을 삼았다. 지대석은 층급 받침이 3단인 옥개석(屋蓋石)을 뒤집어 이용하였고 그 위에는 11엽의 앙련(仰蓮)을 양각한 원형의 탑신(塔身) 괴임이 받치고 있..
전남 문화재자료 제47호 임경업장군비각(林慶業將軍碑閣)은 낙안읍성 내의 객사로 들어가는 입구 도로가에 있는 한채의 비각과 그 안에 서 있는 비로, 임경업 장군의 어진 다스림을 기리고 있다. 임경업(1594∼1646)은 조선시대 중기의 명장으로, 인조 4년(1626) 이곳 전라도 낙안지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