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건축,조형물 (106)
서백의 사찰이야기
사천왕은 원래 수미산 중턱에 해당하는 사천왕천에 사는 천신이다. 그러나 부처님의 설법을 듣고 불법을 지키는 호법신이 된 천왕들이다. 천왕문에 모셔진 천왕의 위치는 법당 쪽에서 볼 때 왼쪽 가까이부터 시계방향으로 동쪽의 지국천왕, 남쪽의 증장천왕, 서쪽의 광목천왕, 북쪽의 다..
경북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 158번지 소수서원 입구에는 "보물 제59호 영주 숙수사지 당간지주 (榮州 宿水寺址 幢竿支柱)"가 자리하고 있다. 당간지주는 사찰입구에 세워두는 것으로, 절에 행사가 있을 때 이 곳에 당(幢)이라는 깃발을 달아 두는데 이 깃발을 걸어두는 길쭉한 장대를 당간(..
직지(直指)의 고장 청주(淸州)에 있는 보살사, 용두사지 철당간, 압각수, 고인쇄박물관, 흥덕사지 등의 답사기행에서 두 번째 찾아간 곳은 "국보 제41호 청주 용두사지 철당간 (淸州 龍頭寺址 鐵幢竿)"이였다. 충북 청주시 상당구 남문로2가 48-19번지에 자리하고 있었다. 숱한 인파들로 붐비..
현재 남아있는 신라 석탑 가운데 가장 오래된 석탑은 당연히 경주 분황사 석탑이다. 이 분황사 석탑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곳에 당간지주가 서 있는데, 바로 "경주 구황동 당간지주 (慶州 九黃洞 幢竿支柱)"이다. 현재 경북 유형문화재 제192호로 지정되어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당간지주..
전라남도 고흥군 점암면 성기리 능가사에 있는 보물 제1557호 "능가사명동종"은 조선시대의 동종(銅鐘)으로 종신에는 "康熙三十七年戊寅三月日 興陽八影山楞伽寺....."의 주종명이 있어 "능가사 강희명 동종(楞伽寺 康熙銘 銅鐘)"이라고도 하며, 1698년(숙종24)에 만들어진 범종이다. 용뉴는 ..
천왕문은 佛法을 수호하는 외호신 사천왕(四天王)을 모신 전각이다. 원래 사천왕은 고대의 인도종교에서 숭앙했던 귀신들의 왕이었으나, 석가모니에게 귀의하여 부처님과 불법을 지키는 수호신(경호실장)이 되었다. 전남 유형문화재 제224호 "능가사 천왕문"은 1995년 천왕문 복원 때 발견..
능가사(楞伽寺)는 전남 고흥군 점암면 성기리 371-1번지, 팔영산(八影山) 아래에 위치한 유서 깊은 사찰로서, 현재 대한불교조계종 제21교구 본사인 송광사의 말사이다. 특이한 것은 대웅전 방향이 절 입구에 맞춰 북향으로 서 있다는 점이다. 조선 후기의 건물이지만 규모가 크고, 건축양..